Summary
Korean summary
이 연구는 단면 조사로, 보편방문 가족(취약하지 않은 가정)과 지속방문 가족(취약한 가정)을 네 시점(출산 후 6±2주, 6±1개월, 12±1개월, 24±1개월)에서 엄마의 결과 지표와 가정환경 지표를 비교하였다. 이 연구의 결과는 조기 아동기 지속적 가정 방문 프로그램만으로는 엄마의 결과 지표와 가정환경 지표의 격차를 완전히 없애기에 충분치 않다는 점을 시사한다.
Key Message
This study is a cross-sectional survey comparing outcomes between universal home visitation group (non-vulnerable families) and sustained home visitation group (vulnerable families) at four time points: 6±2 weeks postpartum, 6±1 months postpartum, 12±1 months postpartum, and 24±1 months postpartum.
Study results suggest that merely implementing a maternal and early childhood sustained home-visiting program is insufficient to close the gap in maternal outcomes and home environments.